파미셀 실적발표 (2025년 실적, CCL, 엔비디아, 두산, 바이오 매출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투자자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신 2025년 파미셀 실적발표 반기보고서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줄기세포치료제 선도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사실 실적을 뜯어보면 **반도체 부품(바이오케미컬)**이 핵심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아셨나요?


이번 상반기 실적은 역대급 성과를 보여주면서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본문에 앞서 파미셀 주가 전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미셀 주가 전망 보기


파미셀 반기 보고서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공시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반기보고서 파미셀 실적발표 자료 보기

파미셀 실적발표


1. 파미셀 실적발표 (2025 상반기)

(단위: 억 원)

구분2025 상반기2024 상반기증감률
매출액538288+86.9%
영업이익1652.3+7,000%+ (약 71배)
당기순이익1450.9대폭 증가
  • 매출액538억 원
    (전년 동기 288억 원 → +86.9% 증가)
  • 영업이익165억 원
    (전년 동기 2.3억 원 → 약 71배 증가)
  • 당기순이익145억 원
    (전년 동기 1억 원 미만 → 대폭 개선)

👉 매출과 이익 모두 역대 최대 수준으로,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컬 제품 매출이 실적을 견인.


2. 파미셀 실적 : 사업부별 매출 (2025 상반기)

(단위: 백만원)

사업부매출액비중
바이오케미컬52,63398%
바이오메디컬1,1662%
합계53,799100%

👉 매출 대부분이 **바이오케미컬(정밀화학)**에서 발생.


3. 파미셀 CCL AI와 반도체가 키운 저율전자 소재 성장

바이오케미컬 사업부 안에서도 어떤 제품이 두각을 나타냈는지 살펴볼까요

제품군매출액전년 동기 대비
전자재료 (저유전율 소재)2,950억+230%
원료의약물질 (Nucleoside 등)960억+53%
mPEG (UCB 공급)770억2024년 연간 실적 초과
난연제/기타 중간체안정적 매출유사 수준
바이오메디컬 (치료제·보관·화장품)116억소폭 증가
  • 전자재료(저유전율 소재): 2,950억 원 (55% 차지, 전년 동기 대비 230% 성장)
  • 원료의약물질(Nucleoside 등): 960억 원 (+53%)
  • mPEG 제품 (UCB 공급): 770억 원 (상반기만으로 2024년 연간 수준 돌파)
  • 난연제/기타 중간체: 안정적 매출 유지

👉 특히 AI 산업과 반도체 수요 확대가 전자소재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반도체용 소재 매출이 세 배 가까이 늘어나면서, 파미셀의 실적을 끌어올렸습니다.


4. R&D 현황

“그럼 줄기세포 치료제는 뭐하나요?” 라고 궁금해하실 수 있죠.
파미셀은 꾸준히 R&D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비: 약 45억 원 (매출 대비 8.4%)
  • 주요 파이프라인:
    • Cellgram-LC (알코올성 간경변, 임상 3상)
    • Cellgram-ED (발기부전, 임상 2상)
    • Cellgram-CKD (만성신장질환, 임상 1상 완료)

👉 매출 대비 R&D 비중은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신약 개발 중심의 투자 기조 유지.

현재는 매출 기여도가 낮지만, 장기적으로 바이오메디컬 부문이 성장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5. 재무 상태

실적이 좋아도 재무 구조가 불안하면 걱정되기 마련이죠. 하지만 파미셀은 이 부분도 매우 건강합니다.

(단위: 억 원)

구분2025.06 기준
자산총계약 9,700
부채총계약 1,000
자본총계약 8,700
부채비율11%
현금성 자산1,100+
차입금거의 없음 (순현금 구조)
  • 총자산: 9,700억 원
  • 부채총계: 1,000억 원 내외 (단기부채 중심)
  • 자본총계: 8,700억 원
  • 부채비율: 약 11% (매우 낮음)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1,100억 원 이상 → 순현금 구조 유지

👉 빚이 거의 없는 순현금 기업으로, 앞으로 신약 개발과 시설 투자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체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6. 종합 평가

  1. 사상 최대 실적
    • 매출 +87%, 영업이익 70배 증가 → 전자소재와 원료의약물질이 핵심 성장 동력
  2. 바이오케미컬이 안정적 캐시카우
    • 전체 매출의 98% 차지
    • 특히 전자소재 매출 폭발적 성장 (AI·반도체 산업 수혜)
  3. 바이오메디컬은 성장 옵션
    • 현재 매출 비중은 2%에 불과하지만, 줄기세포치료제 임상 파이프라인이 향후 모멘텀
  4. 재무 안전성 확보
    • 무차입·순현금 상태, 대규모 투자 여력 충분
  5. R&D 지속 투자
    • 매출 대비 8.4% 수준으로 신약개발과 차세대 치료제 집중


✅ 핵심 요약:
  • 상반기 매출 538억, 영업이익 165억 → 전년 동기 대비 폭발적 성장
  • **전자재료(저유전율 소재)**가 실적을 견인 (매출 230% 성장)
  • 바이오케미컬 98% / 바이오메디컬 2% 구조 유지
  • 재무 건전성 최상급 (순현금, 부채비율 11%)

파미셀 실적발표 (연간 및 분기별 분석)

이번에는 파미셀의 최근 연간 및 분기 실적을 정리해보고, 현재 밸류에이션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연간 실적 추이 (2022~2025E)

구분2022202320242025(E)
매출액602억562억649억1,161억
영업이익89억13억47억370억
당기순이익83억36억63억355억
영업이익률14.7%2.3%7.2%31.9%
순이익률13.7%6.4%9.8%30.6%
ROE11.8%4.6%7.6%30.6%

👉 해석:

  • 2023년은 이익 급감으로 어려웠지만,
  • 2024년부터 회복세, 그리고 2025년은 매출과 이익 모두 ‘대폭 성장’ 전망입니다.
  • 특히 영업이익률 30%대라는 건 사실상 정밀화학 소재 기업치고는 상당히 높은 수익성입니다.

📊 최근 분기 실적 (2024.06 ~ 2025.06)

분기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업업이익률ROE
2024.06178억22억28억12.5%4.6%
2024.09146억13억7억8.8%4.1%
2024.12215억31억42억14.6%7.6%
2025.03270억84억85억31.0%18.7%
2025.06268억82억74억30.5%22.6%
2025.09(E)281억90억90억32.0%32.0%

👉 해석:

  • 2025년 들어 분기 매출이 270억 원대로 급증!
  • 영업이익률이 30% 이상으로 뛰면서 완전히 다른 체급의 실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이는 전자소재(저유전율), 원료의약물질, mPEG 공급 확대 등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 성장 덕분입니다.

💰 재무 구조

  • 부채비율: 10~19% → 매우 낮은 수준
  • 현금성 자산 풍부, 차입 거의 없음 → 순현금 기업
  • ROE(자기자본이익률): 2025E 기준 30% 예상 → 고성장주로서 매력 ↑

📌 밸류에이션 평가

  • EPS(2025E): 592원
  • PER(2025E): 약 19.7배
  • BPS: 1,441원 → PBR 5.75배

👉 현재 주가 기준(표에서 PER·PBR 역산 시)

  • PER 20배 미만 → 성장 속도를 고려하면 과도하지 않음
  • ROE 30% + 순현금 구조 →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받을 자격 충분
  • 다만, PBR이 5~7배 수준으로 높아 자산가치 대비 고평가 논란은 있을 수 있음
  • 결론적으로: “실적 성장 속도에 따라 고평가도 정당화될 수 있는 구간”

🎯 투자 포인트 요약

  1. AI 반도체 CCL 정밀화학(전자소재, 원료의약물질) 폭발적 성장
  2. 영업이익률 30% 이상, 순현금 구조 → 안정성 + 성장성 동시 확보
  3.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 중장기 성장 옵션
  4. 밸류에이션: 단기적으로는 고평가 논란 있지만, 실적 성장세 감안 시 합리적

자주묻는질문(FAQ)

1. 파미셀 주요 사업은? 바이오메디컬(줄기세포)과 바이오케미컬(의약중간체, 전자소재)입니다.

2. 대표 제품은? 세계 최초 줄기세포치료제 '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와 의약품 원료인 '뉴클레오사이드'입니다.

3. 최근 재무 상태는? 2024년 매출액이 15.34% 증가했고, 부채비율이 하락하는 등 재무 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4. 최근 주요 활동은? 줄기세포치료제 임상 승인과 울산 및 성남 공장 준공이 있었습니다.

5. 미래 성장 동력은? 파미셀 CCL AI 가속기용 소재 매출, 줄기세포치료제 상용화, 그리고 바이오케미컬 사업 확장입니다.


💡 결론:

파미셀은 이제 단순히 줄기세포 기업이 아니라,
정밀화학 소재로 안정적 수익을 내는 회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25년 들어 실적 체급이 한 단계 올라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단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지만,
지속적인 전자소재 매출 성장 + 파이프라인 성과가 이어진다면
충분히 장기 투자 매력도 있는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파미셀 엔비디아 납품 제품 보기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