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업을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기업이 바로 한화오션 인데요, 오늘은 한화오션 주가 전망과 마스가 프로젝트 대장주로서의 수주 현황, 그리고 북극항로 관련주로써 어떤 횡보를 보이고 있는지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한화오션 주가 전망
Hanwha Ocean은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과 함께 한국 조선업계 ‘Big 3’로 불립니다.
세계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컨테이너선, 그리고 특히 강점을 가진 LNG 운반선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자랑합니다.
또한 해상 풍력발전 설치선(WTIV), 해양 원유 생산 시설(FPSO), 드릴십 같은 해양 에너지 개발용 구조물도 제작합니다.
여기에 잠수함, 구축함, 호위함 등 특수 선박까지 건조하면서 국방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특히 잠수함 기술력은 국내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죠.
친환경·디지털 기술로 미래 선도
한화오션션은 단순히 선박을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 미래 친환경·스마트 조선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 추진 기술: LNG 연료 추진선, 암모니아 추진선 개발 →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에 적극 대응
- 스마트십 기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선박 안전 진단 시스템, 자율운항선 개발
- R&D 투자: 최근 5년간 약 3,600억 원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기술 격차 유지
역사와 새로운 도약
Hanwha Ocean의 시작은 옥포조선소에서 출발했습니다.
이후 대우그룹 산하 대우조선공업으로 성장했고, 2002년 대우조선해양으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오랜 기간 산업은행 관리 체제를 거치다 2023년 한화그룹 품에 안기며 다시 태어난 것입니다.
이제 한화오션은 한화그룹의 방산·에너지 부문과 시너지를 이루며, 단순한 조선소가 아니라 글로벌 해양·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한화오션 주가 차트 분석
그렇다면 한화오션 주가 차트를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 |
| 위의 이미지 클릭 시, 한화오션 주가 차트를 자세히 보실 수 있어요. |
📊 1. 주가 흐름 개요
- 현재가: 106,000원 (2025년 8월 19일 기준)
- 금일 등락: -3,200원 (-2.93%)
- 거래량: 약 169만 주
최근 주가는 올해 초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뒤, 단기 조정을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 최저가: 25,400원 → 최고가: 119,400원 (상승률 +370% 이상)
- 최근 고점(119,400원) 대비 약 -11% 하락하며 단기 조정 구간에 위치.
📈 2. 이동평균선 분석 (MA 5, 20, 60, 120)
- 단기(5일, 20일선): 주가가 단기 이동평균선을 따라 움직이며 현재 5일선 근처(106,000원 부근) 지지 여부가 중요.
- 중기(60일선): 꾸준히 상승 추세 유지, 현재 주가보다 아래에 있어 중기적으로는 강세.
- 장기(120일선): 완만히 상승 중으로 장기 우상향 추세 유지.
👉 단기적으로는 조정 중이지만, 중장기 상승 추세는 여전히 유효.
📊 3. 매물대 분석 (거래량 프로파일)
차트의 매물대 구간을 보면 투자자들의 주요 매수/매도 심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강한 지지 구간: 34,000원 ~ 45,000원 (매물 비중 31.55%)
- 중간 지지 구간: 68,000원 ~ 80,000원 (매물 비중 26.47%)
- 저항 구간: 110,000원 ~ 119,000원 부근 (최근 고점)
👉 현재 106,000원은 직전 고점 돌파 이후 조정 구간이며, 아래로는 91,000원 ~ 95,000원 구간에 지지 매물대가 존재.
📉 4. 거래량 분석
- 최근 급등 구간(2025년 1~2월)에 폭발적인 거래량이 발생하며 추세가 전환.
- 최근 거래량은 상대적으로 줄었지만, 고점권에서 매수세가 유지되고 있어 단기 조정 후 재반등 가능성 존재.
📊 5. RSI (14일 기준)
- 현재 RSI: 56.77 / RSI-Signal: 64.86
- 과매수 구간(70 이상)에서는 벗어난 상태 → 단기 과열 해소.
- 중립 구간에서 움직이고 있어, 추가 조정 시 매수세가 재유입될 수 있는 자리.
🔎 6. 종합 해석
- 장기 추세: 우상향 강세장 (120일선 위, 구조적으로 상승 추세 유지)
- 단기 흐름: 고점(119,400원) 이후 약 -10% 조정, RSI도 중립 수준으로 안정화
- 관심 포인트:
- 1차 지지선: 100,000원 (심리적 지지선)
- 2차 지지선: 91,000원 ~ 95,000원 (강한 매물대)
- 저항선: 110,000원 ~ 115,000원 구간 (직전 고점 부근)
👉 전략적 관점
- 단기적으로는 조정 구간이므로 100,000원 지지 여부 확인이 필요.
-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진출 전략, 방산 시너지 등 펀더멘털 이슈가 뒷받침되어 상승 여력 여전.
- 보수적 접근: 91,000원 ~ 95,000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 전략 유효.
- 공격적 접근: 100,000원 지지 확인 후 단기 반등 노려볼 수 있음.
📌 정리:
한화오션은 2025년 들어 강력한 상승세를 보여준 뒤 단기 조정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클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방산·미국 시장 진출이라는 호재가 살아있어 재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한화오션 목표주가
그렇다면 증권사별 목표주가는 어떨까요?
| 증권사 | 발행일 | 목표주가 | 산정 이유 |
| NH투자증권 | 2025.07.30 | 125,000원 | 실적 개선과 함께 미국 시장(MRO, 신조) 진출 등 특수선 사업 확장 가능성에 높은 가치를 부여. |
| iM증권 | 2025.07.30 | 115,000원 | 한미 조선업 협력의 가장 큰 수혜주로, 미국 함정 및 상선 발주 시장에서 기회를 선점할 것으로 기대. |
| SK증권 | 2025.07.09 | 97,000원 |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로 인한 실적 턴어라운드 및 미국 현지 조선소 인수 등 성장 모멘텀이 풍부하다는 점을 반영. |
한화오션 미국 시장 도전! MASGA 마스가 프로젝트
최근 한화오션 이 미국 조선 산업 재건을 위한 MASGA 마스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업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한화오션의 해외 진출이 아니라, 한국의 뛰어난 조선 기술을 기반으로 미국 조선 산업을 다시 일으키려는 협력 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MASGA 프로젝트, 뭐가 다른 걸까?
마스가 프로젝트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됩니다.
- MRO(정비·보수·유지) 시장 진출
- 한화오션은 이미 미 해군 함정 MRO 사업을 수주하며 미국 시장에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 안정적인 이익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미 해군의 신뢰를 쌓는 중요한 첫 단계가 되고 있습니다.
- 벌써 여러 건의 미 해군 MRO 프로젝트를 따내며 존재감을 키우고 있죠.
- 현지 조선소 투자·인수
- 한화그룹은 **필라델피아에 있는 ‘필리 조선소(Fili Shipyard)’**를 인수했습니다.
- 이곳은 MASGA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단순 MRO를 넘어 미 해군 신조 시장으로의 확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만약 신조 시장 진출에 성공한다면, 한화오션에 막대한 신규 수주 기회가 열리게 됩니다.
기대 효과 🚀
MASGA 프로젝트를 통해 Hanwha Ocean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양합니다.
- 미국 국방 시장 진출: 새로운 고부가가치 시장 개척 → 수익성 강화
- 기술력 입증: 미 해군 프로젝트 수행 → 글로벌 기술 신뢰도 향상
- 브랜드 가치 상승: 상선·해양플랜트 사업에도 긍정적 파급 효과
- 한화그룹과의 시너지: 방산 기술 + 조선 기술 → 미국 방위산업 경쟁력 극대화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있다 ⚓
물론 모든 게 순탄한 것은 아닙니다.
- 미국의 복잡한 규제, 노동조합 문화, 높은 인건비 등은 기업에게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 국내 경쟁사들도 미국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어 경쟁 심화는 피할 수 없습니다.
- MASGA 프로젝트 자체도 아직 규모와 시기가 확정되지 않아 정책 변화에 따라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Hanwha Ocean의 미래 🌊
그럼에도 불구하고, Hanwha Ocean은 MRO 시장 진출이라는 안정적인 기반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만약 이 발판 위에 신조 시장까지 진출하게 된다면, 기업 가치가 크게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화오션 미국 군함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다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의 신규 군함 발주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이번 기회는 단순한 수주를 넘어, 한국 조선업계 전체에 중요한 도약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1. 미국 해군의 대규모 발주 계획
미 해군은 현재 약 296척의 군함을 운영 중인데, 2054년까지 381척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약 364척의 신규 군함이 필요하다는 뜻이죠.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약 42조 원 규모의 시장이 열리는 셈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미국 내 조선 능력입니다.
- 숙련 인력 부족
- 노후화된 조선소 인프라
- 높은 인건비와 비효율적인 건조 비용
이런 한계 때문에 미국은 자국 내 수요를 모두 소화하기 어렵습니다.
이 틈을 한국의 조선 기술력이 메워줄 수 있다는 점이 바로 한화오션의 기회입니다.
2. MRO(정비·보수) 시장의 중요성
신규 건조뿐만 아니라 연간 10조 원 규모의 MRO 시장도 형성되어 있습니다.
-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음
- 안정적인 수익 확보 가능
한화오션 인수 현황
한화오션션은 이미 미 해군 함정 MRO 사업에서 여러 건의 수주 실적을 올리며 신뢰를 쌓고 있습니다.
이런 경험은 향후 신조(新造) 군함 입찰에서도 큰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Hanwha Ocean이 미국 군함 시장에서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 필라델피아 조선소 인수
- 현지 생산 거점 확보 → ‘Buy American’ 규제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 미 해군과 협력 관계 강화
- MRO 성과와 신뢰 구축
- 이미 다수의 MRO 프로젝트 수행 → 기술력과 신뢰성 입증
- 한화그룹과의 시너지
- Hanwha Aerospace, Hanwha Systems와 협력 → 무기 체계 통합, 첨단 기술 융합
- 단순 조선소가 아닌 종합 해양·방산 솔루션 기업으로 발전 가능
- 호주 호스탈 인수 진행중 : 이부분은 아래에서 더 설명드릴게요.
넘어야 할 과제
물론 도전 과제도 존재합니다.
- 미국의 복잡한 규제와 노동조합 문화
- 높은 인건비 부담
- HD현대중공업 등 국내 경쟁사의 적극적인 미국 진출
- 미국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화오션은 이미 현지 조선소 투자와 MRO 사업 성과를 통해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습니다.
앞으로 신규 군함 발주까지 연결된다면, 기업 가치가 크게 도약하는 것은 물론 한국 조선업 전체에도 긍정적인 파급력이 예상됩니다.
한화오션 미국 시장 정면 돌파 전략 🚢
미국 시장 진입 장벽: 번스-톨리프슨 규정 ⚖️
미국은 자국 안보와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해 Burns-Tollifson Amendment라는 까다로운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 미 해군 전투함은 반드시 미국에서 건조해야 함
- 단순한 해외 수주만으로는 공급 불가
따라서 한국 조선소가 아무리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어도, 미국 내 생산 거점을 확보하지 않으면 전투함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기 어렵습니다.
한화오션의 전략 ① : 필리 조선소 인수 🏗️
한화오션은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필라델피아 조선소(Fili Shipyard)**를 인수하며 미국 진출의 첫 관문을 열었습니다.
- 스마트 야드 시스템 도입 → 낙후된 설비를 현대화
- 한국에서 쌓은 고급 건조 기술과 노하우 이전 → 생산력 향상
- 이미 확보한 MRO(정비·보수) 사업 실적으로 미 해군의 신뢰 강화
👉 단순 MRO에 머무르지 않고, 향후 신조(新造) 시장까지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한 셈입니다.
한화오션 의 전략 ② : 오스탈(Austal) 인수 추진 ⚔️
한화오션 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호주의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Austal) 인수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오스탈은 알루미늄 고속함정 및 군함 전문 기술 보유
- 이미 미국 내 생산 기지를 운영 중 → 두 번째 미국 생산 거점 확보 효과
- 한화오션의 잠수함·특수선 기술과 오스탈의 군함·고속선 기술이 결합 → 해양 방산 포트폴리오 확장
👉 이는 단순한 해외 기업 인수를 넘어, 미국 방산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선택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Gsl_fma2zI&t=1s

HD현대중공업과의 전략 차이 🆚
흥미로운 점은, 경쟁사인 HD현대중공업과의 미국 진출 전략이 크게 다르다는 것입니다.
- HD현대중공업 → 필리핀 수빅(Subic) 조선소 활용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MRO 및 건조 중심
- 간접적으로 미국 시장 진출 시도
- 한화오션 → 미국 본토 필리 조선소 + 오스탈 인수
- “우리는 미국에서 직접 배를 짓겠다”라는 강력한 메시지
- 정면 돌파형 전략
👉 한마디로 현대가 “우회 전략”을 택했다면, 한화오션은 “직접 승부”를 선택한 셈입니다.
기대 효과 🌊
한화오션의 미국 시장 전략이 성공한다면,
- 미국 내 전투함 건조 자격 확보
- 방산·특수선 분야에서의 경쟁력 극대화
- 한화그룹 방산 계열사와 시너지 → 종합 방산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
이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Hanwha Ocean은 미국 시장에서 단순히 “배를 수리하는 업체”가 아니라, 직접 배를 짓는 조선소로 자리매김하려 합니다. 방산 시너지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무기로, 앞으로 미국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낼지 정말 기대되네요!
한화오션은 아직 ‘규모의 1위’는 아니지만, 방산·특수선 시장에서의 독보적 위치와 한화그룹 시너지로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한국 조선업 ‘빅3’의 경쟁은 앞으로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네요!
감사합니다.

0 댓글
질문은 환영! 욕설,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